강아지 유산균 제품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사료 위에 뿌려주고, 때로는 스틱 형태로 된 유산균 제품을 간식으로 주기도 하는데요. 유산균 혹은 프로바이오틱스, 많이 들어보셨죠? 우리 몸에 착한 역할을 하는 유익균들을 통틀어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합니다. 우리가 쉽게 접하는 유산균 제품들은 모두 프로바이오틱스에 속하는 것이죠. 유산균, 하면 장 건강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사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은 물론 피부를 포함한 온몸 구석구석에서 우리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고 있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화기 건강은 물론 우리 몸이 질병을 이겨내도록 하는 면역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죠.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즉 유산균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품이 바로 요거..
세계보건기구(WHO)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1%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합니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고령사회가 되면서 국가가 나서 노년층을 위한 각종 정책들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분명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생산력을 상실해 가고 있는 이들을 위해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 장치들을 확보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사람 못지 않게 우리나라의 반려견들도 나이를 먹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지난해 한국펫사료협회의 '2018 반려동물 보유 현홍 및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견 역시 사람 못지 않게 급속도로 나이 먹어감을 알 수 있습니다. 2017년 조사에서 6세 이상 반려견의 비율은 전체의 36.8%를 차지했는..
고양이도 사람처럼 특정한 음식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고양이의 면역체계가 단백질을 몸에 침투한 병균으로 오인할 때,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해산물, 소고기, 유제품, 곡물, 채소 등을 먹었을 때도 단백질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는데요. 인공 색소, 인공 혼합물, 방부제 등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고양이도 있습니다. 혹시 고양이가 뺨을 긁고, 발을 물어뜯지는 않나요? 쉴 새 없이 재채기 하거나 자주 토를 하지는 않나요? 코를 골지는 않나요? 만약 그렇다면 고양이가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는 권고라고 하네요. 고양이에게 음식 알레르기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징후 10가지를 동물복지와 인권을 위한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케어2’가 소개했습니다. 만약 ..
우리나라의 반려견들 역시 고령화되는 가운데 빈발하는 질환과 증상을 소개하는 자료가 발간됐습니다. 7살 이상의 반려견을 둔 주인이라면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5일 나이 든 반려견, 즉 노령견을 돌볼 때 주의해야 할 주요 질병과 그 특징을 소개했는데요. 이에 따르면 7세 이상의 노령견은 심장질환, 신장질환, 부신피질기능항진증, 유선종양, 자궁축농증, 백내장 발생이 급격히 늘 수 있습니다. 질환별 증상은 어떨까요? ◇심장질환 심장질환을 앓는 경우, 가벼운 운동도 힘들어하며, 호흡이 빨라집니다. 밤에 기침이 잦고, 갑자기 기절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대형견보다 소형견에서 많이 나타나는데요. 특히 우리나라는 말티즈를 비롯해 푸들, 요크셔테리어, 포메라니안 등 소형견들을 많이 키우는 만큼 주의..
고양이 발톱은 여러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양이가 발톱을 갈면서 오래된 층이 떨어지고, 새 층이 올라오는데요~ 그런데 발톱을 깎지 않으면 오래된 층이 그대로 남아 새 층이 올라오지 못합니다. 새 층이 피부를 파고들어 고양이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날카로운 발톱을 깎지 않고 그대로 두면 집사도 할퀴게 될 수도 있는데요~ 즉 집사와 고양이 모두를 위해서 고양이 발톱을 주기적으로 깎아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인내심 있는 고양이와 능숙한 집사의 조합이라면 금방 깎겠지만, 인내심 있는 고양이는 드물기 때문에 요령이 중요한데요~ 고양이 발톱을 쉽게 깎을 수 있는 요령 5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고양이 발톱의 구조를 알아두세요! 고양이의 발톱은 앞발에 5개씩 10개, 뒷발에 4개씩 8개로 총 18..
강아지를 키우다 보면 '분리불안'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요~ 강아지가 보호자와 떨어지게 되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것입니다. 전체 반려견의 20% 즉, 다섯 마리 중 한 마리는 분리불안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강아지가 분리불안을 겪데 되면 안절부절 못 하거나, 침 과다 분비, 구토, 설사, 잦은 소변보기, 멈추지 않고 발성하기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분리불안의 정도가 심해지면 보호자가 외출하려는 낌새를 조금만 보여도 공격성을 띠게 되는데요~ 혼자 남겨진 상황에서도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구나 집안의 물건들을 훼손하거나, 갇혀 있는 공간에서 탈출하기 위해 창문이나 문을 심하게 긁는 행동을 보입니다. 강아지 분리불안은 연령과 상관없이 언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분리불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 Total
- Today
- Yesterday
- 집사
- 길냥이
- 집사일상
- 고양이집사
- 노트펫
- 고양이
- 귀여운강아지
- 강아지산책
- 동물
- 고양이장난감
- 동물학대
- 반려동물
- 오구오구
- 고양이키우기
- 귀여운고양이
- 고양이놀아주기
- 동물공감
- 강아지
- 수의사
- 반려묘
- 반려견
- 길고양이
- 고양이정보
- 심쿵심쿵
- 사료
- 강아지키우기
- 강아지정보
- 동물병원
- 냥이
- 댕댕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